<p></p><br /><br />리프트가 멈춰 있고, 방역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> <br>강원 평창의 스키장 관련 11명의 확진자가 나오면서 임시 휴장한 겁니다. <br> <br>집단 감염 우려 속에, 스키장은 '사회적 거리두기' 적용에서도 제외되는 거냐 문의 있어서 사실인지 알아봤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감염 위험에 따라 클럽 등 유흥주점 등은 중점관리시설로, PC방 등은 일반관리시설로 분류합니다. <br><br><br> <br>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1일부터 스키장도 일반관리시설로 지정, 시행 중인데요. <br> <br>단계별로 보죠. <br> <br>-스키장에서도 1단계부터 방역수칙 의무화고 <br>-1.5단계부터 수용 인원 제한됩니다. <br>-2.5단계에선 9시 이후 운영 중단. <br>-3단계는 집합금지인데요. <br> <br>해당 스키장이 있는 평창군의 경우 거리두기 1.5단계 적용하고 있었습니다. <br><br><br><br>일부에선 "야외에서 스키 탈 땐 두건 같은 방한용품도 착용하는데 마스크 안 써도 되는 거 아니냐" 문의 있는데요. <br> <br>이는 사실이 아닙니다. <br><br>스키 탈 때도 반드시 마스크 착용해야 합니다. <br> <br>세계보건기구는 스키장 감염과 관련해, 진짜 문제는 리프트 등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 발생한다고 지적했는데요 <br> <br>장소별로 따져보죠. <br><br><br><br>곤돌라나 리프트 입구. 차례를 기다리다 다닥다닥 붙어있기 쉬운데, 거리두기 중요합니다. <br> <br>스키복을 갈아입는 탈의실이나 실내 식당 등도 공용 시설인 만큼 머무르는 시간 최소화 필요하죠. <br> <br>스키복, 고글 등 물품은 대여보단 개인물품 사용이 권고됩니다. <br> <br>스키장 주변, 사각지대도 주의해야 합니다. <br> <br>불특정 다수가 스키장 인근 숙박 시설을 빌려서 지내는 시즌방에선 최근 이용객 중 확진자가 나온 바 있죠. <br> <br>방역수칙 준수엔 스키장도, 결코 예외가 아닙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점은 팩트맨 많은 문의 바랍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민석 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임솔, 김민수 디자이너